[월:] 2017년 02월
보호된 글: 2017년 2월 13일
2017년 2월 9-12일
- 2017. 02. 08
- 시간이 빨리간다. 집 오면 7시, 밥 해 먹고 설거지하면 8시, 뉴스 좀 보다가 읽을 거 읽고 좀 놀다 보면 이 시간.
- 2017. 02. 09
- 어제 저거 한 줄 쓰고 더 쓸게 없었다. 삶의 우선 순위나 수입 지출 거주 취미생활 등등 고민을 한다.
- AJAX 자동완성 기능 구현
- 2017. 02. 10
- 월급 나오자마자 수수료 공짜인 CMA로 옮기고, 다시 카드 출금 계좌로 옮기고. 카드 결제하고.
- 2017. 02. 11
- 복식부기로 가계부를 작성하니 사용처에 따른 돈의 흐름이 보인다는 점이 정말 좋다.
- 단점은 미뤄둔 내용을 한꺼번에 입력하거나, 듬성듬성 입력해 돈이 안 맞을 경우, 찾아내는게… 회계 지식이 전무해서 어렵다. 주식 같은건 대체 어떻게 처리 해야 할지 모르겠다(종목별로 다 등록해본 적이 있는데, 보유중인 종목 일부를 팔았을 때 처리가 레알 헬이었다. 시초가에서 판매가로 변경, 다시 종가 입력…)
- 주식은 그냥 총액만 맞춰넣고 ‘손익/손실’ 계좌로 주말마다 맞춰주는 식으로 하고 있다.
- 외국 은행이나 증권사는 외부 프로그램에서 계좌 정보를 가져올 수 있게 허용한 곳도 있다는데. 직접 손으로 자산 관리하는거 너무 불편하다.
- 사용하는 복식부기 프로그램은 Webzash.
- GnuCash 등도 있으니 참조.
- 웹에서 사용 가능한 복식부기 프로그램 후잉이 있는데 유료.
- 2017. 02. 12
- 시간이 점점 빨리 간다는 8일의 생각에 덧붙여서.
- 나이 들 수록 왜 시간이 빨리가는가를 한 만화에선 이렇게 이야기했다. 1살일 때 1년은 그때까지 인생의 100%이고, 5살 때 1년은 인생의 20%… 나이들면서 1년이 점점 작아진다고. 기억이 맞다면 ‘먹다 버린 불쌍한 바나나’란 만화 동인지였다(ACA 출품작이었을 것).
- 자산 점검하고, 계획하고, 읽고, 놀고…
2017년 2월 7일
- 환율
- 달러원 약세는 개뿔. 지난 주 하락폭을 하루만에 만회. 내일도 오를까?
- AMD (NASDAQ: AMD)
- 새 설계를 적용한 CPU 라이젠 소식이 이곳저곳 보이길래 주식 얼마인가 봤더니 +11%가량 상승함. 작년 이맘(2016년 1월?) 때 2달러 정도길래, 당시 게임기와 애플 제품에 들어가는 회사 치고 저평가 같아서 좀 사려다 말았더니, 중순쯤 그래픽 카드 신제품 나오고 실적이랑 나오면서 확 오르기 시작. 연말에 새 CPU 발표하면서 또오르고. 그렇다고 지금 가격에 들어가기는 좀;;;;
- 부정적
- 작년 중순 발표한 새 그래픽 칩이 기대(홍보) 했던 것보다 부족해, 이번에도 암레발 치다 성능 부족하면 어쩌나 싶다.
- 엔비디아에서 애플 관련 개발자를 구인. 애플에 그래픽 칩셋 납품 못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지금이 고점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 긍정적
- 경쟁사 인텔에서 라이젠 다이 크기나 성능에 대해 접하고 분석을 충분히 했을텐데, 좀 더 강화된 경쟁 제품을 내놓는거 보면(인텔의 라이젠 대응 전략은 속도, 7740K와 7640K 투입 예정) 괜찮게 뽑혔다는 이야기 아닐까.
- 부정적
- 축소 일변도인 PC 시장보다 VR이나 GPGPU(General-Purpose computing on Graphics Processing Units)의 가능성을 보는게 더 나을거 같긴… 한데… VR은 핸드폰처럼 1인 1기기 되긴 어려울거 같아서…
- 그래서 안 샀다; 이러면 주당 20달러 가는거 아닐까.
- 새 설계를 적용한 CPU 라이젠 소식이 이곳저곳 보이길래 주식 얼마인가 봤더니 +11%가량 상승함. 작년 이맘(2016년 1월?) 때 2달러 정도길래, 당시 게임기와 애플 제품에 들어가는 회사 치고 저평가 같아서 좀 사려다 말았더니, 중순쯤 그래픽 카드 신제품 나오고 실적이랑 나오면서 확 오르기 시작. 연말에 새 CPU 발표하면서 또오르고. 그렇다고 지금 가격에 들어가기는 좀;;;;
- 부정청탁 방지법 그 이후: [이형석의 빅데이터로 본 창업의 비밀] 자영업, 김영란법 전후 매출비교
- 부정청탁 방지법 적용 이후 객단가 높은 업종보다 낮은 업종이 매출 상승했다는 빅데이터 분석 내용인데…
- 트위터상에서 확인되는 실제 자영업자 관련자들은 신빙성이 낮은 기사라고 주장. 도매나 식자재 납품이 줄었고 주변에 망하는 치킨집은 뭐냐? 이러는데.
- https://twitter.com/Creta65/status/828546038222893056
- https://twitter.com/Magi_co/status/828630107673595904
- https://twitter.com/Magi_co/status/828630226619887616
- https://twitter.com/barTILT/status/828630490345115648
- https://twitter.com/barTILT/status/828633268450914306
- https://twitter.com/barTILT/status/828633940726538240
- https://twitter.com/barTILT/status/828634924265598977
- 머리가… 아프다… -_-
- http://santa_croce.blog.me/220928998100 미국 이민자 정책과 실리콘밸리의 위기
2017년 2월 6일
하루 동안 읽은 글 목록을 정리하기로.
- 전세의 종말 http://ppss.kr/archives/99028
- 집 값에 변동이 없었다고 가정하고 거주할 때 세금 등을 고려하면 전세 < 자가 < 월세 순으로 비용이 들어간다. 화폐가치 하락과 집 값 상승을 고려하면 전세 세입자가 불리한 면이 있는 반면, 하락에는 집 주인이 불리…한거 아닌가?
- 싼 집은 전세 사라질 것 같지만, 아주 고가 집은 전세 남을 것. 어쨌든 뉴스테이니 보금자리 주택이니 하면서 임대 주택(월세)으로 가는 큰 방향은 이미 2016년부터 시작된 듯.
- 진짜 멍: 극한 견주, 마일로(여탕 보고서 작가) 보고 웃느라 정신을 못 차림
- 달러원 환율의 향방은?
- 도드-프랭크법(리만브라더스 파산 이후 은행이 파생상품이나 사모펀드 등에 투자하는 것을 제한하는 법인듯..) 폐지에 서명했다는데 -> 달러화가 쉽게 이곳저곳 투자 가능하게 될듯
- 애플, 구글, MS, 시스코 등 미국 기업이 미국 내에서 쓸 돈이 없어 채권 발행하는 촌극. 이는 국외에 있던 현금을 송금하면 송금세금이 35%에 달해서. 이를 10%로 줄이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 달러원은 약세로 것 같다… 연초 달러원 1200원 선 갔을 때 팔았어야 했다.
- 추가: 미국 자산에 버블이 생길 것 같다. 버블 붕괴 전까지 올라타 있다가 적절히 탈출 할 수 있을 것인가…?
- 일일 주식거래
- 각 +2.67%, +2.42% 수익 확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