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소프트웨어

  • NTP 설정 및 운영 주의점

    리눅스 ntpd(혹은 chrony)와 timesyncd 같이 쓰지 말 것 결론부터 말하면, 시간 동기화 데몬은 서버에 한 개만 실행 중이어야 한다. 추가내용: 서버 시간 동기화: 제발 21세기엔 rdate 쓰지 말자 systemd를 사용하는 리눅스 서버의 시간 동기화를 설명하는 인터넷의 여러 글 중에 ntpd(혹은 chrony) 설치와 함께 timesyncd 를 같이 활성화하라는 내용이 여럿 있다. 위 명령 실행 결과에서 NTP…

  • 2021년 1월 결산: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는 computer tooling & GME 공매도 사태

    1월 중 중요하고 기억에 남는 글과 사건 컴퓨터 전공자 필수로 알아야 할 도구 사용 방법 여러분의 CS 교육에서 누락된 학기 리눅스/맥 커맨드라인 셸 입문자를 위한 생존 가이드 전산 전공자가 알고 있다면 크게 도움될 내용. 직장인을 위한 엑셀 같은건 있지만 이런 컴퓨터 툴링은 가르쳐주는 곳이… 있나? 컴퓨터 사용 방법은 악기 다루는 것과 같은듯. C 언어 책에…

  • 서버 시간 동기화: 제발 21세기엔 rdate 쓰지 말자

    한줄 요약: 시간 동기화는 간단하지 않다. 최소한 NTP 프로토콜 사용 이 글을 쓰는 이유는… 2020년 12월 현 시점에서 rdate(와 cron)로 시간 동기화 하겠다는 충격적인 블로그 글을 봐서… 결론부터 말하면 NTP 프로토콜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동기화 하자. NTP 설정 및 운영 주의점 먼저 써둔 글 참고할 것. 시간 보정 방법 step: 즉시 시간 보정 slew: 시계 회전…

  • WSL2 에서 minikube 로 k8s 사용

    결론: minikube 는 WSL 내부의 리눅스 바이너리로 실행하면 안됨, 윈도우에 minikube.exe 설치해놓고 사용해야 함. 윈도용 docker 설치 / 윈도용 minikube 설치 / WSL 머신 minikube.exe 경로 확인하여 WSL 내에서 실행 가능하도록 설정(WSL는 윈도 바이너리 실행 된다…). 내 경우 ‘/c/Program Files/Kubernetes/Minikube/minikube’ 경로였으며 WSL 에서 실행하기 위해 .bashrc 에 아래와 같이 설정했다. cat ~/minikube/minikube minikube start 해보면…

  • Arch linux 업데이트 후 쉘 실행 시 append_path 실행 실패

    /etc/profile.d/perlbin.sh:6: command not found: append_path/etc/profile.d/perlbin.sh:8: command not found: append_path/etc/profile.d/perlbin.sh:10: command not found: append_path 2020 년 9 월 말 경부터 쉘 실행시 (bash,zsh) 위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면, /etc/profile 업데이트 되었는지 확인할 것. 자신만의 설정을 넣었다면 /etc/profile 파일이 업데이트 안되고 /etc/profile.pacman 에 있어서 append_path 를 못 찾아서 발생하는 건임.

  • 2020년 5월 인공지능

    OpenAI가 놀라운 인공지능 데모를 선보였네요. 해당 데모는 29분 18초부터 나옵니다. GitHub의 오픈 소스로 학습한 GPT2 모델이 코드를 설명하는 주석문을 입력받아 실제 Python 코드를 생성하는 데모입니다. 조만간에 단순 프로그래머 혹은 코더가 필요 없는 시대가 되겠네요. https://t.co/CTkXXqo8Ig — g-Matrix (@idgmatrix) May 21, 2020 이거 기사 처음에 보고 “인공지능이 팩맨 플레이하는 법을 자동으로 습득했다”는 기사인 줄 알고 아…

  • Windows Terminal 설정

    Windows Terminal 사용하려고 insider 참여해 현재까지 사용 중. 한영전환 지원 안 했던 시절을 생각하면 엄청나게 발전해서 기본 터미널로 써도 될 정도. 2020 년 4 월에 0.11 업데이트 되며 globals 속성이 없어졌다(지원안됨). 오래된 설정파일 수정하다 알게 된 점을 정리 https://github.com/microsoft/terminal/blob/master/doc/cascadia/SettingsSchema.md alt 키 누른채로 설정을 클릭하면 기본 설정을 보여준다. globals 속성에 있던 값들은 JSON Root로 옮겨주면 적용…

  • rsync 병렬화(Parallelise rsync)

    rsync –dry-run 으로 목록 텍스트로 저장 parallel rsync 에 목록 텍스트를 넘겨서 병렬로 동기화 더 간단하게 ls 결과를 parallel rsync 에 파이프로 넘겨줌 ls -1 | parallel rsync -a {} /destination/directory/

  • PR(Pull Request) 이후의 github fork 저장소 관리

    fork 하여 수정 내역을 원본(upstream) 저장소에 PR하여 받아들여진 후, fork 저장소쪽 가지(branch)는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가? github에서 fast-forward merge 를 지원 안해줘서 발생하는 이슈라고. github 등에 공개된 프로젝트에 기여하고자 PR 하려면 일단 원본을 Fork 하여 자신의 github 저장소에 복사 하게 된다. 여기서 바로 편집도 되긴 하겠지만 보통은 로컬로 clone 후 작업이 일반적이라 생각하고(다른 사람 어떻게 하는지…

  • QuantLib 설치

    QuantLibXL 설치하여 엑셀에서 사용하는게 가장 편함 QuantLib-Python. 모듈로 설치하면 끝. pip install quantlib-python quantlib 리눅스는 패키지로 설치 ArchLinux 사용시 https://aur.archlinux.org/packages/quantlib/ 윈도: 컴파일 해야 함. Win10은 Microsoft store에 python이 있으니 모듈로 설치하면 간편함. QuantLibXL MS Excel Addin: https://www.quantlib.org/quantlibxl/ 다운로드 후 C:\Users\<계정명>\AppData\Roaming\Microsoft\AddIns\ 폴더에 압축 풀고 엑셀 추가 기능으로 로드(파일 – 옵션 – 추가기능 – 관리 Excel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