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sync
- ssh로 rsync 할 때 포트 번호 지정하는 방법
- 2222번 포트를 사용할 경우
- –rsh=’ssh –p2222′
- 예를 들면
- rsync -avz –progress –rsh=’ssh –p26′ /home/ jellypo.pe.kr:/home/
- 속도 제한 하고 싶을 때
- –bwlimit=KBPS limit I/O bandwidth; KBytes per second
- rsync -avz –bwlimit=100 –progress –rsh=’ssh –p26′ /home/ jellypo.pe.kr:/home/
- 인코딩이 다른 시스템끼리 동기화할 때 멀티바이트(한글) 깨지는 경우
- 인코딩을 지정해주면 됨
- –iconv=CONVERT_SPEC request charset conversion of filenames
- 이 옵션은 일정 버전 이상 되어야 있음(정확한 버전은 …모르겠음)
- rsync –av –iconv=utf-8,cp949 a.com:/home/ b.com/home/
- 여러 개 적을 수 있다. 이 경우 utf-8을 쓰는 a.com에서 cp949를 쓰는 b.com으로 싱크를 하는 방법 (… 반대 일 수 있음)
- 포트 스캔
- nc (netcat)
- 211.218.150.200에 1부터 1000번까지 포트스캔해라.
- nc -v -z 211.218.150.200 1-1000
- 텔넷식으로 접근(telnet localhost 80 같이 테스트 할 때)
- nc –t <대상IP> <port>
- nmap
- TCP 열린 포트 확인
# nmap -sT -p 1-1024 localhost
- UDP 열린 포트 확인
# nmap -sU -p 1-1024 localhost
- 특정 열린 포트 확인
# nmap -sX -p 25,53,110 192.168.0.3
-
트래픽 관련
-
트래픽 확인은 iptraf 가 좋은 듯. 패키지 등을 설치해야 있음.
-
awk로 간단한 덧셈 할 때 (ls –l 로 파일 사이즈 합쳐서 볼 때)
-
awk '{sum += $2} END { print "sum is", sum }' filename
- $2를 더해서 볼 위치로 적당히 수정하면 됨..
리눅스 팁 2탄
게시됨
카테고리
작성자
태그:
답글 남기기